클라우드란 무엇일까요? 요즘 한창 시끄럽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가 WWDC2011에서 OS X Lion , ios5 ,아이클라우드(i Cloud)를 발표 했습니다.
그중 아이클라우드의 발표로 인해 클라우딩 서비스를 다시 한번 뜨겁게 이슈화 시켰네요.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의 N드라이브 , Daum cloud, KT의 U cloud 등이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 WEB HDD의 경우도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아주 큰 폭풍 반응을 일으키고 있는 이유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보급률 증가에 있습니다.
그럼 클라우드 서비스란 무었일까요?
클라우드의 단어 뜻은 구름(Cloud)에서 유래된 말로 무형의 존재를 뜻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랑 이런 무형의 자원(하드웨어,소프트웨어)을 WEB을 톻해서 빌려 쓰는 방식을 말하는 것입니다.
특히 PC에서 작업하던 내용을 WEB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공유해서 작업을 할 수가 있습니다.
최근에 나온 구글의 크롬북도 클라우딩 시스템을 채택을 한 것이죠.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 !!!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 고가의 PC가 필요 없게 되고 ,
스마트폰 타블릿 PC를 통해서 휴대성도 강화 되는 것입니다.
또한 문서 작업(Word, Excel, Powerpoint)등을 웹상에서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SW구매도 필요 없게 됩니다.
인터넷 이용만 가능하다면 해당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 사용자들에게는
비싼 비용을 들이지 않고 - 소프트웨어 구입비용 -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히 매력적이며
물론 해당 자료를 공유해 놓으면 상대방 역시 같은 사이트에 접속을 해서 해당 자료의
수정, 작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도 협업이 가능해 집니다.
이 외에도 클라우딩 서비스의 이용은 무궁무진 한다고 생각됩니다.
(괜히 클라우드 클라우드 하는게 아닌가 봅니다. ㅎ)
클라우드 서비스의 단점 및 보완점
1. 보안 문제
대부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은 상당한 수준의 보안솔루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라도 해킹을 당해 자료가 유출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 이용자의 신뢰가 클라우드 서비스의 전제 조건이 된다.
2.클라우스 서버의 시스템 다운
시스템의 고장이나 파손에 의한 시스템 마비를 예상할 수도 있다. 개인 PC기반의 컴퓨터 환경에서는 단일 PC의 문제는 해당 PC의 문제에 그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의 중지는 해당 서비스 이용 그룹 전체의 작업 중단으로 이어진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의 손실의 규모가 엄청나다.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1. N 드라이브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통합 클라우드 서비스(우리나라)
2. 유클라우드(ucloud) : KT 클라우드 서비스(우리나라)
3. daum cloud : 다음 클라우드 서비스(우리나라)
문서(Word), 스프레드시트(Excel), 프리젠테이션(Powerpoint) 등의 작업이 온라인 가능
흔히들 말하는 포토샵의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언어를 선택하면 한글 이용이 가능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서비스가 존재 합니다.
한번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동영상은 이번 WWDC2011에서 잡스가 발표한 I Coude 발표 동영상입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상위노출 SEO 마케팅에서 피해야 하는 실수 (0) | 2020.02.25 |
---|